728x90
반응형
SMALL

분류 전체보기 97

연준의 금리 인상이 하루 앞으로 다가왔다! 우리의 투자 전략은?

3월 22일 미국 연방준비 위원회에서 금리 인상에 대한 논의가 다시 한번 시작된다. 이번 금리 인상은 0.5bp다 0.25bp다 말이 많았는데, 오늘은 과연 이번 금리인상의 방향이 어떻게 될지 예측해 보고 대응 전략을 논의해 보도록 하겠다. 위와 같이 우리나라 시간으로는 23일 새벽에 미 연준에서 금리인상을 또 한차례 논의한다. 이번 금리인상은 중간에 물가지표나 생산자물가지수와 같은 지표들이 예상치보다 상회하거나 동일한데 일부 지표들이 튀어오르는 바람에 지난 FOMC 미팅에서 0.25bp 금리 인하가 섣부른 판단이지 않을까 하는 생각에 이번 금리 인상이 0.5bp가 강하게 나타나기도 했다. 또한 미국 SVB(실리콘밸리은행)의 파산과 영국 크레딧스위스 위기에 과거 서브프라임모기지 사태를 연상시켰지만 다행히..

부동산 바닥 찍었나? 언제가 매수 타이밍일까?

지난 한국부동산원의 통계에 따르면 부동산 가격이 바닥을 찍고 올라오는 그래프를 보여줬다고 한다. 최근 정부의 정책 완화에 힘입어 드디어 반응을 보이는 결과일까? 오늘은 부동산 시장이 어떻게 변화고 있고 향후 전망 그리고 언제가 매수 타이밍일지 살펴보고자 한다. 위 그래프를 봤을 때, 2월 첫째 주 기점으로 가격이 상승으로 돌아선 듯 보인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아직 부동산이 상승기로 돌아서기엔 시기상조라는 말들이 많다. 물론 이 뜻은 아직 바닥이 아닐 수도 있다는 뜻이다. 왜 반등했나 살펴보면, 정부의 정책 완화와 현재 시장에 풀려있는 급매물들이 맞물려서 소진되었을 거란 부분이 가장 현실적인 이유인 것 같다. 지난해 하반기부터 지속적으로 정책 완화를 펼쳤고 그에 따라 시장에 쌓이는 급매(가격이 매우 싼 아..

미국 생산자물가지수(PPI) 발표! 상황이 좋지 않다.

어제 생산자 물가지수 PPI가 발표되었습니다. 결론적으로 말하면... 이 역시도 예측치 대비 높게 나와서 상황은 점점 인플레이션 둔화로 가닥을 잡고 있는 것 같다. 오늘은 PPI 상황과 앞으로 어떻게 대응해야 할지 얘기해보고자 한다. 지난 고용지표, 소비자물가지표가 예상보다 상회하는 결과를 보았었는데, 생산자 물가지수까지 0.4% 예측치 대비 0.7%로 더 높게 나왔다. 이는 생산자 입장에서 측정한 물가인데, 생산자가 물건과 서비스를 만드는 데 사용하는 상품과 서비스의 평균가격이라는 뜻이다. 이 수치가 높으면 곧 상품을 사는 소비자 물가지표에 그대로 반영이 되게 되고 물가가 동반 상승하면서 다시금 인플레이션이 올 수 있다는 뜻이기도 하다. 이제는 시장에서도 어느 정도 상황에 대해 인지하는 듯하다. 어제 ..

소매 판매 지표 발표~! 미국 주식 앞으로 어떻게 될까?

미국 소매 판매 지표들이 발표되었다. 결론부터 말하자면 이 역시 지난 고용지표, 소비자물가지표와 같이 예측치 대비 높게 나오는 상황이 벌어졌다. 앞으로 미국 주식은 어떻게 될까? 오늘은 지난 시간에 이어 미국 주식의 향방에 대해 얘기해보고자 한다. 미국 1월 소매판매 지표는 전월대비 3.0% 증가함을 나타내면서 2년래 최대치로 상승했다. 상세 지표를 보자면 가솔린을 뺀 나머지 항목들은 대부분 오름세를 이어갔고 가장 중요하다고 보는 주거비까지 큰 폭으로 상승하였다. 애널리스트들은 시장이 과도한 기대를 하고 있다고 평가하였고 모든 지표가 인플레이션 둔화, 연준의 금리 인상 기조 연장을 나타내고 있는데도 너무 낙관주의에 빠져있다고 경계하고 있다. 이를 반영하듯이 현재 나스닥 및 시장 지표들이 혼조세를 보이고 ..

소비자 물가지수(CPI) 예상치 상회, 시장은 어떻게 될 것 인가?

어젯밤 10시경 미국 소비자물가지표가 발표되었다. 결론부터 말하여지면 예상치보다 높게 나와서 시장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었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신기한 현상들도 이어졌는데, 오늘은 그 부분을 살펴보고 앞으로의 투자 전략을 짜보도록 하자. 지난번 CPI 발표 직전에 현금 비중을 어느정도 유지하자란 말을 했었는데, 그 이유에 근간은 이번 소비자 물가지수(CPI)가 높게 나왔을 때 대응하기 위함이었다. 드디어 어젯밤 소비자 물가지표가 발표되었고 불길한 예상은 현실로 일어나고 말았다. 1월 소비자물가지표 CPI(YoY): 6.4% (예측 6.2%) CPI(MoM): 0.5% (예측 0.5%) Core(YoY): 5.6% (예측 5.5%) Core(MoM): 0.4% (예측 0.4%) 이 지표는 더 떨어져야 좋..

주식 시장 2 ~ 3월에는 하락을 면치 못한다?

지난 FOMC에서 0.25bp 금리 인상, 베이비스텝을 단행하고 나서 시장은 환호했다. 물론 이에 따라 주가는 10% 이상 상승했고 이런 기조가 계속될 줄 알았다. 하지만 고용지표가 생각보다 견고한 흐름과 이에 따른 연준 의원들의 강경 발언에 다시금 시장이 서서히 얼어붙고 있다. 앞으로 시장은 어떻게 될까? 오늘 저녁 소비자 물자 지수 발표가 예정되어 있고 FOMC 금리 인상도 3월에 '23년 2번째 회의가 열린다. 오늘은 과연 시장이 어떻게 될지 상황을 살펴보고 대응 전략에 대해 얘기해보고자 한다. 시장의 흐름을 판단하기 위해선 오늘 저녁에 발표하는 CPI(소비자 물가지수)가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소비자 물가지수는 소비자들이 특정 기간동안 구매한 재화와 용역의 총가치를 측정한 값이기 때문에 인..

1월 반짝 상승? 아니면 지속적 상승 랠리 시작?

'23년 첫 번째 FOMC 회의에서 0.25bp 인상으로 시장은 환호했다. 즉각 반영된 시장은 상승 랠리를 이어갔고 1월만 해도 10% 이상 상승이 있었다고 한다. 하지만 현재 시장은 서서히 냉각되고 있다. 다시 서서히 하락이 시작되었고 이가 계속될지 아니면 잠깐 이러고 다시금 상승 국면으로 갈지 귀추가 주목되고 있다. 오늘은 현재 시장의 상황들을 보고 앞으로 어떤 방향으로 갈지 그리고 어떤 전략을 짜야할지 알아보고자 한다. 하락이 시작된 것은 고점일 때 기관들의 차익실현 타이밍과 맞물리는 부분도 있었고 고용 지표들이 발표되자마자 하락은 가속화되기 시작했다. 고용지표들을 한번 살펴볼까? 지난 5일 미국 노동부에서 발표한 고용 상황을 보면 비농업 일자리 취업자가 18~19만 개 정도 증가할 것이라 예상했다..

매월 받는 배당금 투자 어떻게 할까?

미국 주식하면 생각나는 게 배당금이다. 미국 기업들은 주주 환원 정책을 운영하여 주주들을 부양하는 것으로 유명한데 배당금은 분기나 월 기준으로 보유한 주식 수만큼 배당 퍼센트로 계산되어 돈을 주는 정책이기도 하다. 오늘은 배당주 투자를 어떻게 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미국 회사들 중 배당금을 주는 회사들은 자신만의 배당 월이 정해져 있다. 위 그림은 하나의 예시이니 추천 종목으로 생각하진 말았으면 좋겠다. 위 내용처럼 시스코는 1,4,7,10월에 배당금이 AT&T는 2,5,8,11월에 화이자는 3,6,9,12월에 배당금이 나온다. 이렇게 세 종목 매수해 놓았다면 1년 동안 매월 빠짐없이 배당금을 받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자신이 좋아하는 배당 종목을 찾아서 저점일 때, 매수해 놓으면 계속해서 월급과 같이..

투자의 대가들의 포트폴리오 (2) - 레이 달리오

투자들의 포트폴리오를 엿보고 투자 전략을 세워보는 그 두 번째 시간 레이 달리오 편이다. 지난 성장주 투자를 중심으로 했던 캔피셔와는 다르게 소비재 투자를 주로 하는 레이 달리오는 전혀 다른 포트폴리오를 가지고 있음에 놀라기도 했다. 오늘은 그에 대해 파헤쳐보자. 나이가 들었음에도 잘생겨보이는 레이 달리오, 그는 누구일까? 레이 달리오는 21세기에 금융을 선도하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로 투자의 한 장을 만든 사람이다. 2008년 금융위기를 예측한 것부터 시작해서 2000년 닷컴버블, 굵직한 세계 금융위기를 예견하고 이에 대한 대응 포트폴리오를 잘 운영하여 전 세계 자산 1위(한화 약 180조)의 헤지펀드 브리지워터를 이끌고 있는 대표이다. 이렇게 위기에 강한 그의 포트폴리오를 살펴보도록 하자. ..

FOMC 미연준 금리 인상 대폭 하향~!

어제 새벽 4시 반 이후 기점으로 FOMC 미연준의 금리 인상 포인트가 결정되어 발표되었다. 작년 하반기 예상했던 0.5bp 인상과 다르게 0.25bp 인상을 결정한 것! 시장은 환호했고 3대 지수 모두 상승을 하고 있다. 오늘은 왜 그런지, 어떤 방향으로 갈 건지 확인하고 앞으로의 전략을 점검해보고자 한다. 작년만 해도 인플레이션이 꺾이고 잡히고 있다 해도 연준은 고강도 금리 인상을 지속한다고 강력 발언하였다. 하지만 새해가 되자 분위기가 바뀌고 많은 인플레이션 지표들이 예상치보다 빠르게 하회하면서 연준의 입장도 대폭 바뀌었다. 예상치보다 낮게 나온 지표들을 보면 이러하다. 12월 물가지표 CPI(YoY): 6.5% (예측 6.5%) CPI(MoM): -0.1% (예측 0.0%) Core(YoY): 5..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