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한국부동산원의 통계에 따르면 부동산 가격이 바닥을 찍고 올라오는 그래프를 보여줬다고 한다. 최근 정부의 정책 완화에 힘입어 드디어 반응을 보이는 결과일까? 오늘은 부동산 시장이 어떻게 변화고 있고 향후 전망 그리고 언제가 매수 타이밍일지 살펴보고자 한다.
위 그래프를 봤을 때, 2월 첫째 주 기점으로 가격이 상승으로 돌아선 듯 보인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아직 부동산이 상승기로 돌아서기엔 시기상조라는 말들이 많다. 물론 이 뜻은 아직 바닥이 아닐 수도 있다는 뜻이다.
왜 반등했나 살펴보면, 정부의 정책 완화와 현재 시장에 풀려있는 급매물들이 맞물려서 소진되었을 거란 부분이 가장 현실적인 이유인 것 같다. 지난해 하반기부터 지속적으로 정책 완화를 펼쳤고 그에 따라 시장에 쌓이는 급매(가격이 매우 싼 아파트들) 대상으로 실거주 목적에 꼭 사야 하고 급해진 시장 참여자들이 매물을 사게 되면서 1월 넷째 주, 2월 첫째 주, 둘째 주에 이어 상승하는 모습을 보여준 것이다.
하지만 이런 기조는 조금 더 지켜봐야한다. 급매가 팔리면서 실거래가가 낮은 값에 찍히게 되었고 매수하려는 사람들은 심리가 그 가격에 사고 싶기 때문에 계속 기다리게 될 것이다. 물론 매도자들은 정책 완화를 기대하며 값을 다시 올리고 있는 추세라고 한다. 하지만 결국 매수자가 없으면 가격을 내리게 되어있다.
실제로 내가 여러군데 부동산에 연락을 해본 결과 정말 급매가 대부분 소진되고 매도자들은 가격을 올린 상태였다. 하지만 거래가 되지 않는다고... 잘 생각해봐야할 것들이 아직 금리가 인하되지 않았다. 미국은 계속 금리를 소폭이라도 올리고 있고 우리나라는 소폭 또는 동결로 가닥을 잡고 있다.
내가 생각하는 매수 타이밍은 중 하반기? 내년 상반기? 정도 선을 노려보면 어떨까 생각된다. 물론 그 사이에 나오는 급매를 노려서 사는 것도 좋은 포인트다. 본인의 상황과 정책기조, 그리고 시장 매물의 상관관계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길 바란다. 그럼 반드시 기회는 있다!
'1. 부동산 투자 귀신' 카테고리의 다른 글
4월 1일자 부동산 정책 변화! 이제 추첨제 청약이 확대된다! (34) | 2023.03.24 |
---|---|
부동산 가격 이제 바닥일까? (38) | 2023.03.22 |
올해부터 바뀌는 1, 2 주택자 종부세, 양도세 총정리~! (120) | 2023.01.31 |
특례보금자리론 총정리~! 오늘부터 신청 가능! (124) | 2023.01.30 |
23년 서울, 경기, 인천 주요 청약 일정~! (107) | 2023.01.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