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SMALL

금리 인상 11

연준의 금리 인상이 하루 앞으로 다가왔다! 우리의 투자 전략은?

3월 22일 미국 연방준비 위원회에서 금리 인상에 대한 논의가 다시 한번 시작된다. 이번 금리 인상은 0.5bp다 0.25bp다 말이 많았는데, 오늘은 과연 이번 금리인상의 방향이 어떻게 될지 예측해 보고 대응 전략을 논의해 보도록 하겠다. 위와 같이 우리나라 시간으로는 23일 새벽에 미 연준에서 금리인상을 또 한차례 논의한다. 이번 금리인상은 중간에 물가지표나 생산자물가지수와 같은 지표들이 예상치보다 상회하거나 동일한데 일부 지표들이 튀어오르는 바람에 지난 FOMC 미팅에서 0.25bp 금리 인하가 섣부른 판단이지 않을까 하는 생각에 이번 금리 인상이 0.5bp가 강하게 나타나기도 했다. 또한 미국 SVB(실리콘밸리은행)의 파산과 영국 크레딧스위스 위기에 과거 서브프라임모기지 사태를 연상시켰지만 다행히..

소비자 물가지수(CPI) 예상치 상회, 시장은 어떻게 될 것 인가?

어젯밤 10시경 미국 소비자물가지표가 발표되었다. 결론부터 말하여지면 예상치보다 높게 나와서 시장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었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신기한 현상들도 이어졌는데, 오늘은 그 부분을 살펴보고 앞으로의 투자 전략을 짜보도록 하자. 지난번 CPI 발표 직전에 현금 비중을 어느정도 유지하자란 말을 했었는데, 그 이유에 근간은 이번 소비자 물가지수(CPI)가 높게 나왔을 때 대응하기 위함이었다. 드디어 어젯밤 소비자 물가지표가 발표되었고 불길한 예상은 현실로 일어나고 말았다. 1월 소비자물가지표 CPI(YoY): 6.4% (예측 6.2%) CPI(MoM): 0.5% (예측 0.5%) Core(YoY): 5.6% (예측 5.5%) Core(MoM): 0.4% (예측 0.4%) 이 지표는 더 떨어져야 좋..

1월 반짝 상승? 아니면 지속적 상승 랠리 시작?

'23년 첫 번째 FOMC 회의에서 0.25bp 인상으로 시장은 환호했다. 즉각 반영된 시장은 상승 랠리를 이어갔고 1월만 해도 10% 이상 상승이 있었다고 한다. 하지만 현재 시장은 서서히 냉각되고 있다. 다시 서서히 하락이 시작되었고 이가 계속될지 아니면 잠깐 이러고 다시금 상승 국면으로 갈지 귀추가 주목되고 있다. 오늘은 현재 시장의 상황들을 보고 앞으로 어떤 방향으로 갈지 그리고 어떤 전략을 짜야할지 알아보고자 한다. 하락이 시작된 것은 고점일 때 기관들의 차익실현 타이밍과 맞물리는 부분도 있었고 고용 지표들이 발표되자마자 하락은 가속화되기 시작했다. 고용지표들을 한번 살펴볼까? 지난 5일 미국 노동부에서 발표한 고용 상황을 보면 비농업 일자리 취업자가 18~19만 개 정도 증가할 것이라 예상했다..

'23년 FOMC 일정 및 금리 인상 예상!

'22년은 금리 인상으로 정말 바쁘고 정신없는 한 해였다. 이제 '23년은 언제 FOMC 금리 관련 회의가 있을까? 오늘은 그 일정을 알아보고 전문가들이 예측하는 금리 인상률에 대해 알아보고 투자 방향을 설정해보고자 한다. 우선 '23년 FOMC 미팅 일정은 이미 나온 상태이다. 위 일정은 미국 시간 일정이고 국내 시간은 조금 다를 수 있다. 아래 표를 참고하기 바란다. 미국 시간이 우리나라 반대이기 때문에 대부분 새벽에 포지션 되어 있음을 참고하기 바란다. '23년 FOMC 국내 일정 2월 2일 04:00 3월 23일 03:00 5월 4일 03:00 6월 15일 03:00 7월 27일 03:00 9의월 21일 03:00 11월 2일 03:00 12월 14일 04:00 자 그러면 첫번째 2월 2일에 있을..

언제든 넣고 뺄 수 있는 파킹 통장에 대해 알아보자!

"파킹, Parking"이란 영어로 주차해 놓는다는 뜻이 있다. 은행권에서도 요새 파킹 통장이라는 상품들이 속속 나오고 있는데 오늘은 파킹 통장이 어떤 것인지 알아보고 활용 방안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우선 파킹 통장이란 원하는 돈을 넣어놓으면 하루만 지나도 해당 이자를 주는 상품이다. 그렇기 때문에 시중은행에서는 해당 상품을 잘 만들지 못한다. 하지만 유동성이 큰 인터넷 뱅킹과 같은 경우 해당 제품이 거의 대부분 있다. 위 사진에는 토스뱅크, 케이뱅크만 있지만 실제로 카카오뱅크에도 세이프티박스라는 상품명으로 연 2.6%의 파킹 통장을 제공해주고 있다. 파킹통장의 장점은 무엇일까? 바로 언제든 넣었다 뺐다 할 수 있다는 것이다. 소액이나 쓸 것 같은 목돈을 예금으로 묶어 놓으면 필요한 상황이 왔을 때,..

재테크 최고의 방법은 예금?? 금리 동결에 대해 알아보자!

미국에서 인플레이션을 잡기 위해 금리를 계속해서 올리고 있다. 상대적으로 미국보다 약소국인 우리나라는 무역 및 달러 유출 방지 등을 목적으로 불가피하게 금리를 올릴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그래서 한국 기준 금리는 현재 3.25%로 많은 부분 올라와 있다. 오늘은 한국 금리 인상이 앞으로 어떻게 될 것인가? 그리고 그에 따른 우리에 재태크 방식은 어떻게 하면 좋을지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우선 한국 기준 금리는 '23년 첫 번째 한국은행 발표 때 0.25% 인상이 유력하다고 한다. 그럼 기존 3.25%에서 0.25% 합산된 3.5%의 기준금리를 갖게 된다. 작년 금리 인상 때, 우리는 재테크의 방향성을 알아보기 위해 어떤 문제가 있었는지 다시 한번 생각해볼 필요가 있다. 한국은행의 계속되는 기준 금리 인..

새해 연준 인원 대거 교체!? 금리 인하 앞당겨지나?

'23년 새해가 시작되었기 때문에 미국 연방준비제도의 금리인상 관련 표결권을 가진 위원들이 4명이나 교체되었다. 기존에 4명이 매파적(금리를 올리자) 성향을 뛰었다면 이번 교체되는 위원들을 중립적 성향을 띠는 위원들이 많다고 한다. 오늘은 연준 위원이 바뀌면 어떤 변화가 발생하는지 살펴보고 시장이 어떻게 변할지도 살펴보도록 하겠다. 우선 FOMC에서 투표권을 행사할 수 있는 연준 위원은 총 12명이다. 그리고 4자리는 11개 지역 연은 총재가 매년 돌아가며 합류한다. 이번에도 새해가 되면서 매파적(금리를 더 올리자) 성향을 띠는 3명과 비둘기적(금리를 낮추자) 성향을 띠는 1명이 나가고 중립적 성향을 띠는 3명이 들어오고 1명의 매파적 성향을 띠는 위원으로 교체된다고 한다. 중립적 성향을 띄는 3명의 위..

금리 인상이 장기화되면 기업의 주가는 어떻게 될까?

지난 FOMC 회의에서 빅스텝인 0.5% 금리 인상을 단행했다. 드디어 자이언트 스텝인 0.75% 보다 낮게 금리 인상을 하였는데, 시장은 오히려 하락했다. 금리 인상 및 고금리가 더 오래 지속될 수 있다는 점도표와 파월 의장의 발언 때문이었는데, 금리 인상이 지속되면 도대체 어떤 일이 일어나기에 투자자들은 시장을 떠나는 것일까? 오늘은 금리 인상이 지속되고 장기화되면 기업들은 어떻게 되는지 또 주가는 어떻게 되는지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아래 3가지 카테고리를 살펴보고자 한다. 1. 고금리 이자비율 증가 금리 인상을 하는데 왜 기업 실적이 악화될까? 기업은 100% 자기 돈으로 사업을 하지 않는다. 어느 정도의 비율을 은행에서의 돈을 빌려서 사업을 하게 되는데, 이자율이 쌔지면 당연히 기업들은 은행에..

'22년 마지막 금리 인상 단행

드디어 기다리고 기다리던 미국 연준의 금리인상이 오늘 새벽에 단행되었다. 물론 예상한 데로 0.5% 진행하였고 기존의 4번 연속 0.75% 인상하던 자이언트 스탭이 속도를 늦추었다. 이제 미국 기준 금리는 4%대로 마무리하는 모습을 보였다. 그런데 시장의 반응은 싸늘하다. 기다려왔던 0.5% 인상 아니였던가? 어제 새벽의 S&P 500 주가 흐름은 발표가 나고 나서 크게 하락하는 모습을 보였다. 왜 그런걸까? 분명 금리 인상 속도를 높이면 시장은 환호하고 주가는 치고 오를 줄 알았는데... 오히려 떨어지는 모습을 보이다니... 헌데, 이 부분은 FOMC 미팅을 보면 원인을 알 수 있다. 바로 내년 금리 인상 예측치를 나타내는 점도표 때문이다. 지난 9월 FOMC에서 투표된 내년 금리 최고치는 4.6% 정..

12월 FOMC 미국 연준 금리 인상의 선택은?

드디어 22년의 마지막 12월 FOMC 회의가 이번주 12월 13 ~ 14일 개최된다. 미국 증시에 매우 중요한 미팅이라고 할 수 있는데, 오늘은 FOMC가 뭐하는 곳이고 미국 주식에 향방에 막대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우선 FOMC는 쉽게 말하자면 우리나라의 한국은행과 같은 곳이다. 나라의 경제상황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돈을 풀거나 거둬드리거나를 금리 인상을 통해 컨트롤하는 그런 곳이다. 물론 한국 은행과 조금 다른점은 미국은 연방 국가이기 때문에 한국 은행처럼 한 곳에서 결정하는 것이 아니라 여러 의원들이 각 주의 연방준비은행에 소속되어 있는 12명의 의원들이 투표를 통해 모든 것을 결정하는 형태로 진행되게 된다. 물론 12명의 의원들은 민주당, 공화당 양쪽에 배분되어 있고 그 중 대..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