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새 부동산 가격이 바닥을 찍어서 다시 반등하려 한다는 기사들을 종종 볼 수 있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아직 반등이라고 보기엔 시기상조라고들 하는데... 오늘은 그 이유를 살펴보고 향후 대응 전략에 대해서 고민해보고자 한다.
위 데이터는 KB부동산에서 약 1년전 가격과 현재 가격을 비교하여 지역별로 증감률을 나타낸 자료이다. 일부 지역을 제외하고는 많은 부분 빠져있고 수도권도 적게는 6% 많게는 10%가 넘는 수치로 빠져있다.
매도/매수 우의 지표를 보니 조금 매수 우위 지수가 올라온 듯도 하다. 이것 때문일까? 부동산 임장시 사장님들께 해당 내용을 들어보니 자세히 알 수 있었다. 현장에서는 기존에 너무 안 팔려 나온 급매들이 이제 소진되었고 그게 매수 심리 수치를 올린 거라고... 하지만 급매가 사라지면서 기존에 호가대로 부른 물건들에 대해서는 더더욱 나가지 않는 현상이 생겨버렸다. 왜냐하면 급매로 최저가가 실거래로 찍혔기 때문에 그걸 본 매수자는 섣불리 매수를 할 수 없기 때문이다.
그래서 현재는 팽팽한 줄다리기를 하고 있다고 본다. 매도자는 조금이라도 더 비싸게 팔려하고 매수자는 급매 가격을 봤으니 그 가격으로 사려하고 그래서 현장에서는 다시금 거래가 잠긴 상태이다. 부동산 사장님들도 손님이 거의 없긴 한데... 오는 손님마다 "급매 뜨면 연락 주세요."라는 말과 연락처만 남기고 사라진다고 한다.
내 개인적인 의견으로는 부동산은 지금보다 소폭이지만 더 떨어질 것이라 예상한다. 왜냐면 미국 경제 지표들이 대부분 선행하게 되는데, 미국 부동산 역시 아직 회복보다는 조금더 떨어지는 형태를 취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럼 우리는 어떻게 해야 하나? 현재도 무릎까진 온 것 같다고 생각한다. 그렇기 때문에 어쩌면 발 끝을 잡아보려 노력하기보다는 현재 상황에 맞게 적절한 네고로 무리하지 않는 선에서 매수하면 결국 다시 회복하여 오르지 않을까 판단된다. 하지만 모든 건 본인의 상황에 맞게 판단을 해야 무리가 없으니 신중히 생각하길 바란다.
'1. 부동산 투자 귀신'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동산 하락기에 매매 방법은~? (1탄 - 급매) (37) | 2023.03.27 |
---|---|
4월 1일자 부동산 정책 변화! 이제 추첨제 청약이 확대된다! (34) | 2023.03.24 |
부동산 바닥 찍었나? 언제가 매수 타이밍일까? (96) | 2023.02.22 |
올해부터 바뀌는 1, 2 주택자 종부세, 양도세 총정리~! (120) | 2023.01.31 |
특례보금자리론 총정리~! 오늘부터 신청 가능! (124) | 2023.01.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