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SMALL

파월 7

5월 FOMC 결과 발표~! 한 차례 더 올린다!

5월 FOMC 결과가 드디어 발표되었다. 결론부터 말하자면 예상과 같이 0.25bp 인상! 하지만 이후 내용이 조금 예상과 달랐다. 오늘은 예상과 무엇이 달랐고 발언의 뉘앙스는 어떠했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금리 인상은 예상처럼 0.25bp 올려서 5.25% 16년만에 금리 최고치를 찍게 되었다. 예상했던 것인데 왜 어제 미국 시장의 3대 지수가 다 하락했을까? 이 부분을 파악하기 위해선 파월의 뉘앙스를 유심히 관찰해 볼 필요가 있다. 파월의 늬앙스는 최대한 시장을 흔들지 않고 담백하게 말했다 할 수 있겠다. 전체적인 늬앙스의 요약은 경기침체는 피하는 확률이 경치침체를 맞는 것보다 더 높을 것 같다고 언급하였고 인플레이션이 다시 살아나는 것을 막기 위해 금리 인상은 하되 더 이상의 금리 인상은 멈춰야 할 ..

5월 FOMC 미연준 금리인상 행보는~?

이제 '23년의 3번째 FOMC 미연준 금리 인상이 다음 주로 다가왔다. 미국 시간으로는 5월 3일 오후 3시에 진행되고 한국시간으로는 새벽 4시쯤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과연 이번 5월 FOMC 미연준 금리 인상 행보는?? 어떻게 나올까? 오늘은 금리 인상 예측과 향후 주가 흐름 행보에 대해 예상해보고자 한다. FED Watch에 따르면 83.9%의 확률로 이번 금리 인상도 한번 더 인상한다는 기조가 높다. 지금 미국 금리가 5%이니 0.25bp 인상을 통해 5.25%로 올린다는 것인데, 이 기조는 인플레이션이 떨어지고 있다곤 하지만 소비자 물가지수나 고용지표들이 조금씩 튀어 오르거나 하락률이 저조해지면서 다시금 튀어 오를 인플레이션에 대해 고금리 기조 유지로 해당 부분을 잡아나가겠다는 정부의 입장이 반..

미 연준의 금리 인상 결과는!? 향후 방향과 우리 투자 전략은?

드디어 어제 새벽 미국 연방준비 위원회 FED에서 금리 인상을 단행했다. 시장에서는 0.5bp 인상을 예측하는 사람들도 많았지만 금리 인상에 따른 뱅크 파산 위험성 때문에 결국 0.25bp 베이비스탭 인상하는 것이 결정되었다. 뭐 예상했던 바이지만 시장은 파월의 한마디 한마디에 집중하고 또다시 나스닥이 하락하고 있다. 오늘은 왜 그런 것인지 살펴보고 향후 방향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결과적으로 지난번 FOMC 회의에서 금리를 0.25bp로 베이비스텝을 밟고 나서 많은 일들이 있었다. 물가지수들이 떨어지는 폭이 둔화되었고 각종 은행에서 파산 및 다양한 경고 지표들이 보였다. 하지만 이 부분은 0.25bp를 올려서 바로 생겨난 문제는 아니다. 과거의 지표들이 누적되서 서서히 나타날 뿐이다. 그렇기 때문에 ..

1월 반짝 상승? 아니면 지속적 상승 랠리 시작?

'23년 첫 번째 FOMC 회의에서 0.25bp 인상으로 시장은 환호했다. 즉각 반영된 시장은 상승 랠리를 이어갔고 1월만 해도 10% 이상 상승이 있었다고 한다. 하지만 현재 시장은 서서히 냉각되고 있다. 다시 서서히 하락이 시작되었고 이가 계속될지 아니면 잠깐 이러고 다시금 상승 국면으로 갈지 귀추가 주목되고 있다. 오늘은 현재 시장의 상황들을 보고 앞으로 어떤 방향으로 갈지 그리고 어떤 전략을 짜야할지 알아보고자 한다. 하락이 시작된 것은 고점일 때 기관들의 차익실현 타이밍과 맞물리는 부분도 있었고 고용 지표들이 발표되자마자 하락은 가속화되기 시작했다. 고용지표들을 한번 살펴볼까? 지난 5일 미국 노동부에서 발표한 고용 상황을 보면 비농업 일자리 취업자가 18~19만 개 정도 증가할 것이라 예상했다..

FOMC 미연준 금리 인상 대폭 하향~!

어제 새벽 4시 반 이후 기점으로 FOMC 미연준의 금리 인상 포인트가 결정되어 발표되었다. 작년 하반기 예상했던 0.5bp 인상과 다르게 0.25bp 인상을 결정한 것! 시장은 환호했고 3대 지수 모두 상승을 하고 있다. 오늘은 왜 그런지, 어떤 방향으로 갈 건지 확인하고 앞으로의 전략을 점검해보고자 한다. 작년만 해도 인플레이션이 꺾이고 잡히고 있다 해도 연준은 고강도 금리 인상을 지속한다고 강력 발언하였다. 하지만 새해가 되자 분위기가 바뀌고 많은 인플레이션 지표들이 예상치보다 빠르게 하회하면서 연준의 입장도 대폭 바뀌었다. 예상치보다 낮게 나온 지표들을 보면 이러하다. 12월 물가지표 CPI(YoY): 6.5% (예측 6.5%) CPI(MoM): -0.1% (예측 0.0%) Core(YoY): 5..

'23년 FOMC 일정 및 금리 인상 예상!

'22년은 금리 인상으로 정말 바쁘고 정신없는 한 해였다. 이제 '23년은 언제 FOMC 금리 관련 회의가 있을까? 오늘은 그 일정을 알아보고 전문가들이 예측하는 금리 인상률에 대해 알아보고 투자 방향을 설정해보고자 한다. 우선 '23년 FOMC 미팅 일정은 이미 나온 상태이다. 위 일정은 미국 시간 일정이고 국내 시간은 조금 다를 수 있다. 아래 표를 참고하기 바란다. 미국 시간이 우리나라 반대이기 때문에 대부분 새벽에 포지션 되어 있음을 참고하기 바란다. '23년 FOMC 국내 일정 2월 2일 04:00 3월 23일 03:00 5월 4일 03:00 6월 15일 03:00 7월 27일 03:00 9의월 21일 03:00 11월 2일 03:00 12월 14일 04:00 자 그러면 첫번째 2월 2일에 있을..

12월 FOMC 미국 연준 금리 인상의 선택은?

드디어 22년의 마지막 12월 FOMC 회의가 이번주 12월 13 ~ 14일 개최된다. 미국 증시에 매우 중요한 미팅이라고 할 수 있는데, 오늘은 FOMC가 뭐하는 곳이고 미국 주식에 향방에 막대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우선 FOMC는 쉽게 말하자면 우리나라의 한국은행과 같은 곳이다. 나라의 경제상황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돈을 풀거나 거둬드리거나를 금리 인상을 통해 컨트롤하는 그런 곳이다. 물론 한국 은행과 조금 다른점은 미국은 연방 국가이기 때문에 한국 은행처럼 한 곳에서 결정하는 것이 아니라 여러 의원들이 각 주의 연방준비은행에 소속되어 있는 12명의 의원들이 투표를 통해 모든 것을 결정하는 형태로 진행되게 된다. 물론 12명의 의원들은 민주당, 공화당 양쪽에 배분되어 있고 그 중 대..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