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년은 금리 인상으로 정말 바쁘고 정신없는 한 해였다. 이제 '23년은 언제 FOMC 금리 관련 회의가 있을까? 오늘은 그 일정을 알아보고 전문가들이 예측하는 금리 인상률에 대해 알아보고 투자 방향을 설정해보고자 한다.
우선 '23년 FOMC 미팅 일정은 이미 나온 상태이다. 위 일정은 미국 시간 일정이고 국내 시간은 조금 다를 수 있다. 아래 표를 참고하기 바란다. 미국 시간이 우리나라 반대이기 때문에 대부분 새벽에 포지션 되어 있음을 참고하기 바란다.
'23년 FOMC 국내 일정 |
2월 2일 04:00 |
3월 23일 03:00 |
5월 4일 03:00 |
6월 15일 03:00 |
7월 27일 03:00 |
9의월 21일 03:00 |
11월 2일 03:00 |
12월 14일 04:00 |
자 그러면 첫번째 2월 2일에 있을 FOMC에 어느 정도 금리를 인상할 것이라고 예상하고 있을까? 아래 그림은 Fed Watch에서 제공한 내용으로 첫 번째 FOMC에서 금리를 어느 정도 올릴지 예상치를 보여주고 있다. 현재 미국 기준 금리는 4.5%이며 아래 예측치는 0.25bp를 올린 4.75%에 많은 예상들이 몰려있다. 이 뜻은 무엇인가? 작년 12월만 했어도 '23년 상반기에 다시 한번 0.5bp를 올려 고강도 금리인상 기조를 이어간다고 했었는데, 현재 빠르게 인플레이션이 잡혀나가면서 이번 예측치를 0.25bp로 낮춰 예상한 것이다.
물론 해당 부분은 실제 FOMC 회의가 지나 봐야 더 명확히 알겠지만 현재 많은 지표들이 하락하고 있기 때문에 시장은 어느 정도 환호하고 0.25bp 인상을 믿고 있는 눈치다. 하지만 반대의 의견도 있다. 파월이 언론을 통해 0.25bp 인상을 살짝 언급해서 시장이 어떻게 반응하는지 보고 0.5bp를 다시 한번 올려서 기존의 기조를 유지할 수도 있다는 의견도 있다.
자 그러면 우리는 어떻게 시장 변화에 대응해야할까? 대부분 1월에 시장이 뜨겁게 달아오르는 이유는 1월에 대부분 회사들이 경영 성과급을 지급하기 때문이다. 그렇기 때문에 돈이 생긴 사람들이 1월에 주식에 많은 부분 투자하는 것이다. 이럴 때일수록 중요한 게 분할 매수가 아닌가 싶다. 정말 0.25bp를 올리게 되면 시장은 현재보다 더 빠르게 올라갈 것이고 따라 타기 쉽지 않을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일정 부분 시장을 보면서 지금부터 조금씩 매수해 보고 일정 비율의 현금을 남겨두어 0.5bp를 인상하였을 때, 시장이 다시 얼어붙을 때 주어 담는 전략을 펼쳐야겠다. 아직 시장이 확실한 기조와 방향이 결정되지 않는 상황에서 모든 돈을 몰빵 하는 것은 위험부담이 있을 것으로 예상한다.
FED Watch Site
https://www.cmegroup.com/markets/interest-rates/cme-fedwatch-tool.html
CME FedWatch Tool - CME Group
Count down to the next Federal Open Market Committee (FOMC) rate hike with the CME FedWatch Tool, based on the Fed Funds target rate. View the tool.
www.cmegroup.com
'2. 주식 투자 귀신' 카테고리의 다른 글
FOMC 미연준 금리 인상 대폭 하향~! (176) | 2023.02.02 |
---|---|
투자의 대가들의 포트폴리오 (1) - 캔 피셔 (84) | 2023.02.01 |
'23년 미국 주식은 떡상한다? (164) | 2023.01.24 |
부자는 주식을 하고 서민은 예금을 한다? (159) | 2023.01.22 |
세계 최대의 가전 전시회 CES를 통해 본 미래의 투자처! (223) | 2023.01.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