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SMALL

분류 전체보기 97

23년 하반기 부동산 시장 전망~! (feat. KB 부동산)

부동산에 대한 이야기와 뉴스가 정말 많은 때인 것 같다. '23년에 접어들자 1~3월까지 급매물이 소진되면서 거래량이 늘어나는 모습을 보이더니 이제 다시 거래량이 늘고 부동산 가격이 다시 오르는 것 아니냐는 말들도 쏟아져 나오고 있다. 오늘은 KB부동산의 4월까지의 통계를 통해 향후 부동산 시장에 앞으로의 전망을 논의해보고자 한다. 우선 위 그래프로 수치만 봐도 전월대비 가격의 빠짐 폭이 줄어든 걸 알 수 있다. '23년 1월만 해도 전월 대비 -1.31%로 가장 많이 매매 가격이 떨어졌고 2월부터 4월까지는 계속해서 급매물이 소진되어 가면서 빠진 가격들을 유지해나가고 있다. 자 그러면 매수우위지수의 비중을 확인해볼까? 이를 확인해 봄으로써 시장이 살아나고 있는지 아닌지를 확인해 볼 수 있다. 해당 그래..

23년 국내 대기업 순위/재계 순위 확인!

2023년 국내 대기업 집단 재계 순위가 떠서 해당 정보를 확인해 보기 위해 가져왔다. 매년 규모와 조건에 따라 공정거래위원회(공정위)에서 대기업 군을 지정하게 되는데 오늘은 23년 지정된 항목들을 확인해 보고 변동사항이나 특이점을 살펴보고자 한다. 아래 자산총액은 해당 그룹의 계열사의 공시 매출액을 합산한 매출액임을 참고하기 바란다. 우선, TOP 20부터 살펴보고자 하는데, 삼성, SK, 현대차, 엘지까지는 작년대비 변동이 없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하지만 그 이후로는 변화가 하나씩 보이는데, 포스코의 경우 작년보다 매출액이 약 4조 원이 늘어 23년에는 5위로 올라섰다. 그리고 그 위로 롯데, 한화, HD현대(이전 현대중공업), 농협, 신세계, 케이티, CJ, 한진, 카카오 순이고 엘에스가 매출..

지역별 부동산 소멸 지도 (feat. 지역별 인구 통계)

지방 부동산 투자에 앞서 해당 지역별 인구 증감 추이를 확인하는 것은 필수이다. 왜냐하면 점차 인구가 줄어들게 될 것이니 수요 공급 측면에서 수요가 점점 줄어들게 되는 부분을 말해주기 때문이다. 오늘은 전국 지역별 인구 증감 추이를 통해 향후 부동산 시장이 어떻게 될지 확인해보고자 한다. 위 통계에서 보면 녹색으로 유지될수록 인구 유입이 안정적이라는 뜻이고 빨간색으로 갈수록 인구가 줄어들고 있다는 것이다. 20년부터 22년 기준으로 확인해 봤을 때, 서울 수도권, 수원, 화성, 평택, 천안, 세종, 대전, 부산, 대구 등을 제외하고는 대부분 소멸주위 단계에 진입해 있다. 해당 부분은 일자리가 풍부한 곳이라고 말할 수 있겠는데, 삼성전자 반도체 공장들이 공급되는 평택, 화성 등이 이에 해당되지 않을까 싶다..

5월 FOMC 결과 발표~! 한 차례 더 올린다!

5월 FOMC 결과가 드디어 발표되었다. 결론부터 말하자면 예상과 같이 0.25bp 인상! 하지만 이후 내용이 조금 예상과 달랐다. 오늘은 예상과 무엇이 달랐고 발언의 뉘앙스는 어떠했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금리 인상은 예상처럼 0.25bp 올려서 5.25% 16년만에 금리 최고치를 찍게 되었다. 예상했던 것인데 왜 어제 미국 시장의 3대 지수가 다 하락했을까? 이 부분을 파악하기 위해선 파월의 뉘앙스를 유심히 관찰해 볼 필요가 있다. 파월의 늬앙스는 최대한 시장을 흔들지 않고 담백하게 말했다 할 수 있겠다. 전체적인 늬앙스의 요약은 경기침체는 피하는 확률이 경치침체를 맞는 것보다 더 높을 것 같다고 언급하였고 인플레이션이 다시 살아나는 것을 막기 위해 금리 인상은 하되 더 이상의 금리 인상은 멈춰야 할 ..

한국은행 기준금리 금리 변화 및 인상 일정

항상 미국 금리 인상이 있고 나면 우리나라 금리 인상의 행보가 궁금해진다. 오늘은 우리나라의 한국은행이 금리는 어느 정도 수준이고 해당 결정 회의는 언제 하는지 그리고 앞으로 어떻게 될 것인지 확인해보고자 한다. 우선 현재 금리는 3.5%로 '23년 1월 이후로 금리 동결을 지속중이다. 미국 금리가 계속해서 오르면 외화 유출을 방지하기 위해 우리나라도 따라 올릴 수밖에 없는 묘한 경제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는데, 지난 금리를 동결한 이유는 우리나라가 많은 외화를 보유하고 있고 미국 인플레이션도 어느 정도 잡혔다고 예상하니 미국 금리 동결 이전 한국이 먼저 동결해도 버틸 수 있을 것이라 판단한 것 같다. 하지만 현재 미국 금리가 한두회 더 올릴 수 있다는 부분을 계속해서 시사하고 있고 다양한 인플레이션 지표..

청년내일저축계좌 개시! 중위소득 50% 이하로 대상 확대!

오늘은 5월 1일부터 시행되는 청년내일저축계좌에 대한 소식을 가져와보았다. 예전에도 있었던 제도이긴 하지만 이번에는 수혜대상이 더 확대된다는 내용이니 참고해서 대상이 되시는 분들은 신청하면 좋을 것 같다. 지원내용 ○ 지원대상 - 연령·소득기준·가구소득·가구재산 4가지를 모두 충족한 청년을 지원합니다. ① 가입연령 : 신청 당시 만 19세~만34세 청년 ※ 단, 수급자·차상위자·기준 중위소득 50%이하자는 만 15세~만39세까지 허용 ② 근로·사업소득 : 현재 근로활동 중이며, 근로·사업소득이 월50만원 초과~월220만원 이하 ※ 단, 수급자·차상위자·기준 중위소득 50%이하 자는 현재 근로활동 중이며 근로·사업소득이 월10만원 이상 발생 ③ 가구소득 : 소득인정액 기준 중위소득 100%이하 ④ 가구재산..

서울에서 젊은 사람들이 가장 많이 사는 곳은 어디일까?

월세 투자를 바라보는 사람이라면 가장 먼저 찾아보게 되는 것이 젊은 사람들이 어디에 가장 많이 살까?라는 질문과 1인가구가 어디서 많이 거주할까?라는 질문이 아닐까 싶다. 왜냐하면 당연히 1인가구가 4인가구보다 가볍고 월세 살기를 선호하기 때문이다. 오늘은 서울 어느 지역에 1인가구가 가장 많이 살고 있는지 알아보고 해당 지역의 부동산 투자 관점도 살펴보고자 한다. 1위는 역시나 관악구이다. 관악구는 타지역 대비 매매가가 저렴하고 회사가 많은 강남, 여의도 쪽으로 출퇴근이 편하다. 그래서 해당 지역에 월세투자하는 사람들도 많고 또 그곳에 월세로 사는 1인 젊은 가구들도 많이 몰려든 것으로 판단된다. 2위는 영등포구이다. 최근 지역 발전으로 더 핫해지고 있는데 과거에는 이 지역이 공장단지로 유명했다. 대부..

챗GPT(Chat GPT)가 기업에 미치는 영향은?

Chat GPT가 발표되고 나서 다양한 기업들이 수혜를 받고 있다. 그중에서도 마이크로소프트와 엔비디아가 대표적인데 오늘은 두 회사에 대해 알아보고 향후 어떤 주가흐름을 이어갈지 살펴보고자 한다. 우선 챗GPT의 소유주이자 향후 행보가 기대되는 마이크로소프트는 현재 주가가 307.26달러로 52주 신고가를 쓰면서 급 상승하고 있다. 이는 챗GPT의 언어기반 어드바이저 역할이 중심인데 이를 마이크로소프트의 생산성 도구들 (오피스툴 Office365, 검색엔진 Bing, 공동협업툴 Teams 등)에 적용하여 활용성을 극대화할 수 있기 때문이다. 벌써부터 챗GPT 검색엔진에 붙여서 광고를 붙인다거나(매출이 증대되는 형태) 생산성 도구에 추가할 수 있는 서비스로 출시하여 월 구독료를 받는 다던지 그리고 마이크로..

5월 FOMC 미연준 금리인상 행보는~?

이제 '23년의 3번째 FOMC 미연준 금리 인상이 다음 주로 다가왔다. 미국 시간으로는 5월 3일 오후 3시에 진행되고 한국시간으로는 새벽 4시쯤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과연 이번 5월 FOMC 미연준 금리 인상 행보는?? 어떻게 나올까? 오늘은 금리 인상 예측과 향후 주가 흐름 행보에 대해 예상해보고자 한다. FED Watch에 따르면 83.9%의 확률로 이번 금리 인상도 한번 더 인상한다는 기조가 높다. 지금 미국 금리가 5%이니 0.25bp 인상을 통해 5.25%로 올린다는 것인데, 이 기조는 인플레이션이 떨어지고 있다곤 하지만 소비자 물가지수나 고용지표들이 조금씩 튀어 오르거나 하락률이 저조해지면서 다시금 튀어 오를 인플레이션에 대해 고금리 기조 유지로 해당 부분을 잡아나가겠다는 정부의 입장이 반..

2023년 자동차세 연납 공제율 변경

1월이 되면 세금들을 미리 내고 공제율을 할인받는 제도들이 많다. 알아두면 돈이 되는 정보! 그중에 오늘은 자동차세 내용을 확인해보고자 한다. 자동차세는 1월 뿐만 아니라 1월, 3월, 6월, 9월 홀수 달에 나머지 세금을 한 번에 내게 되면 낸 비용에 7%를 감면해 주는 혜택이 있다. 예를 들어 이번연도는 이미 1월, 3월이 지나갔으니 6월에 나머지 세금을 모두 내게 되면 남은 세금에 7%를 감면해 주는 부분이 있다. 이를 통해서 알 수 있는 것은? 당연히 일찍 전체의 비용을 많이 낼수록 금액이 크니 할인이 많이 적용되는 것이 특징이라 할 수 있겠다. 그런데, 위 표를 보다싶이 공제율이 점점 작아진다는 소식이 있다. '23년엔 7%, '24년엔 5%, '25년에 3% 신청한 사람이 너무 많아서일까? 내..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