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제 생산자 물가지수 PPI가 발표되었습니다. 결론적으로 말하면... 이 역시도 예측치 대비 높게 나와서 상황은 점점 인플레이션 둔화로 가닥을 잡고 있는 것 같다. 오늘은 PPI 상황과 앞으로 어떻게 대응해야 할지 얘기해보고자 한다.
지난 고용지표, 소비자물가지표가 예상보다 상회하는 결과를 보았었는데, 생산자 물가지수까지 0.4% 예측치 대비 0.7%로 더 높게 나왔다. 이는 생산자 입장에서 측정한 물가인데, 생산자가 물건과 서비스를 만드는 데 사용하는 상품과 서비스의 평균가격이라는 뜻이다. 이 수치가 높으면 곧 상품을 사는 소비자 물가지표에 그대로 반영이 되게 되고 물가가 동반 상승하면서 다시금 인플레이션이 올 수 있다는 뜻이기도 하다. 이제는 시장에서도 어느 정도 상황에 대해 인지하는 듯하다.
어제 나스닥 지수는 새벽 3시를 기점으로 크게 빠지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정말 모든 종목이 대부분 마이너스가 나고 특히 기술주 중심으로 크게 하락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모든 지표들이 곧 다가올 3월 FOMC에서 금리를 인상하라고 말하고 있고 그러지 않으면 인플레이션 하락이 둔화되어 더 잡기 힘들다고 말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럼 우린 어떻게 해야 하는가? 난 지난 고용지표 상회부터 조금씩 긴장하라고 말했었고 지속적으로 현금비중을 늘리고 만일에 사태에 대비하라고 말했었다. 이를 잘 지켰다면 이제 시장도 상황을 인지하기 시작했으니 조금 더 기다렸다 더 좋은 매수 타이밍을 노려보면 좋을 것이라 생각한다. 만약 위 내용을 지키지 못해 현금 비중이 많지 않다면 더 떨어질 것을 대비해 조금은 매도하고 더 저가 매수 타이밍을 노려보는 것도 좋을 것 같다. 또 투입된 비용이 적다면 기다렸다가 좋은 매수 타이밍에 추가로 물을 타는 방법도 좋은 방법이 될 것이다.
이제 시장은 조금은 상황을 인지하기 시작하면서 한 방향으로 갈 가능성이 높다. 다시금 지속적으로 떨어지다가 3월 FOMC나 5월 FOMC 즈음 안정된 메시지를 통해 다시금 반등할 것이라 생각한다. 물론 이 부분은 개인적인 생각이고 상황은 언제든 변할 수 있으니 항상 현금 비중을 준비하고 분할 매도, 분할 매수 하길 바란다.
'2. 주식 투자 귀신'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 연준의 금리 인상 결과는!? 향후 방향과 우리 투자 전략은? (41) | 2023.03.23 |
---|---|
연준의 금리 인상이 하루 앞으로 다가왔다! 우리의 투자 전략은? (40) | 2023.03.21 |
소매 판매 지표 발표~! 미국 주식 앞으로 어떻게 될까? (105) | 2023.02.16 |
소비자 물가지수(CPI) 예상치 상회, 시장은 어떻게 될 것 인가? (80) | 2023.02.15 |
주식 시장 2 ~ 3월에는 하락을 면치 못한다? (60) | 2023.02.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