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년 부동산은 상승을 끝으로 22년 하반기 현재 부동산이 하락하고 있다. 매수 심리는 줄어들고 분양은 미분양이 나기 시작하고 있으며 매물을 내놓아도 집을 보러 오는 사람이 없는 상황이 되었다. 이런 부동산 하락장에서 시장 방향을 예측해보고 우리는 어떤 마음 다잡아보고자 한다.
혹자는 부동산 하락기는 떨어짐을 기점으로 10년간 횡보하는게 일반적이라고 말한다. 또 다른 혹자는 이번 부동산 하락장은 공급(분양)이 없기 때문에 수요 심리를 자극해 횡보 구간이 오래가지 않을 것이란 예측도 있다. 물론 나도 후자에 조금 더 의견이 기우는 편이다. 그 이유를 아래 그래프에서 한번 보자.

해당 그래프는 실제 서울 아파트의 과거 매매 전세 지수를 비교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주황색이 매매가 추이고 파란색은 전세가 추이이다. 부동산 침체기에는 당연히 매매가가 떨어지고 전세가가 오르게 된다. 집을 사기 싫어하는 사람들이 전세나 월세로 들어가기 때문이다. 이 그래프에서 집중할 부분은 하락기에는 대부분 횡보장세가 이루어졌다는 부분이다. 물론 부동산 하락에는 금리인상, 경기 침체, 주변 공급 등 다양한 원인들이 있지만 위 그래프에서 시사하는 바는 횡보장 앞에는 대규모 신도시가 공급되었다는 점이다. 많은 공급이 있으면 당연히 매매를 분산하기 때문에 하락, 횡보장이 지속되고 오래될 수밖에 없었다. '23년도 동일할까? 아래 내용을 보자. 부동산 114라는 전문 거래 사이트에서 리서치한 결과다.

23년 ~ 24년으로 갈수록 더 적은 부동산 공급이 이어지는 상황이다. 이런 상황이 반영된다면 금방 수요가 부족하여 다시금 부동산이 튀어 오르지 않을까? 또한 정책과 규제가 대대적으로 해제되고 있는 상황이기 때문에 부동산 하락은 그리 오래가지 못하고 튀어 오를 수 있는 상황이 나올 수 있다. 1주택자들은 현 시장을 잘 버티고 갈아타기 또는 갭투자 전략을 노려보고 무주택자들, 꼭 집이 필요한 사람들은 이번 하락기에 잘 구매해놓으면 다시 상승장 때, 웃을 수 있지 않을까 싶다.
'1. 부동산 투자 귀신'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동산 다시 오를 곳이 어딜까? GTX - A 노선 주목! (223) | 2023.01.10 |
---|---|
부동산 하락 멈추는 신호가 서서히 보이나? (166) | 2023.01.08 |
이젠 부동산 규제 지역까지 다 풀린다? (108) | 2023.01.04 |
서울 급지 지도 (141) | 2023.01.03 |
부동산 종부세 완화? 이제 양도세까지 규제를 풀어주나? (109) | 2023.01.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