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번 소형 평수 청약 문턱이 낮아진다는 내용을 포스팅하였는데, 오늘은 가점제에 내 점수를 어떻게 계산하는지 방법을 알아보도록 하자. 청약 점수는 어려워 보이지만 의외로 간단하다. 딱 3가지 무주택기간, 부양가족수, 청약저축 가입기간만 합산하면 점수 계산 완료다.
1. 무주택 기간 (총 32점)
첫번째로 무주택 기간이다. 집을 보유하지 않은 사람들에게 청약을 통해 집을 얻을 수 있는 기회를 높여주기 위함인데, 집을 가지고 있지 않는 기간이 길수록 점수는 높아진다. 집을 샀다 팔았을 경우면 판 시점부터 다시 계산이 된다. 보유하고 있다면 당연히 0점이다.
2. 부양가족수 (총 35점)
가족이 많은 사람들에겐 집이 더 필요하겠지 않겠는가? 그리고 나라에서도 2세를 갖기를 장려하고 다양한 지원 제도들이 제공된다. 청약도 마찬가지다. 주민등록등본에 부양가족으로 등제되어 있는 사람의 수만큼 점수 가점을 준다. 물론 자식만이 아니라 부모님의 경우도 모시고 산다면 가점으로 합산이 가능하다.
3. 입주자저축 가입기간 (총 17점)
입주자저축 가입 기간은 청약저축 가입을 언제 했냐이다. 청약저축을 얼마나 오래 가지고 있었냐를 보는 것이고 실제 청약하는 아파트마다 청약 저축 통장 기준으로 신청 가능 여부가 나뉘기도 한다. 청약 통장은 월에 한 번씩 넣게 되어있기 때문에 24회 이상 넣어야 하고 몇백만 원 이상 들어가 있어야 신청 가능한 경우가 기본적이니 해당 부분은 각 아파트 청약 사이트를 참고해야 한다.
이렇게 청약 가점제에서 본인의 청약 가점을 계산하는 방법은 크게 어렵지 않다. 서울 청약에서 좋은 입지의 경우 청약 가점 합격률이 대략 60점대이고 지금과 같이 부동산 미분양이 속출하고 있을 때는 30 ~ 40점 대도 많이 당첨되기도 한다. 심지어 이번 둔촌주공에서는 최저 점수가 21점이라고 하니... 지금과 같은 시장에서는 가점제도 노려볼만하다.
실제 청약을 계산해보려면 직접 해보는 것도 좋지만 아래 청약홈 사이트에 가서 기준들을 넣고 돌려보면 총점수가 계산되어 나오니 활용해보는 것도 좋겠다.
https://www.applyhome.co.kr/ap/apg/selectAddpntCalculatorView.do
청약홈 | 청약가점계산
청약가점 계산하기 청약가점제에 의해 청약신청을 할 때에는 청약자 본인이 직접 주택소유여부, 무주택기간 및 부양가족수를 산정해야 하므로 신청전에 청약신청 시 유의사항 및 가점제도 내
www.applyhome.co.kr
참고로 지난번 소형 평수 청약 문턱이 낮아진다는 포스팅도 함께 공유해보겠다. 관심 있으면 아래 포스팅에서 확인하기 바란다.
https://investmentghost.tistory.com/23
'23년 청약 제도 개편! 소형 평수 문턱이 낮아진다!
현재 투기 과열지구 서울의 경우 소형 평수는 대부분 가점제도로 점수가 높은 순으로 청약 당첨이 결정되기 때문에 가점이 낮은 젊은이들에게는 기회가 없는 게 사실이다. 하지만 '23년 청약제
investmentghost.tistory.com
'1. 부동산 투자 귀신'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반값 아파트, 서울 고덕 강일 3단지 분양 계획 (132) | 2022.12.31 |
---|---|
부동산 하락기에 집 파는 방법? (114) | 2022.12.29 |
23년 청약 제도 개편! 소형 평수 문턱이 낮아진다! (17) | 2022.12.25 |
깡통 전세 속출?? 대응 방안을 알아보자 (20) | 2022.12.22 |
'23년 부동산 규제의 방향은? (9) | 2022.12.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