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사업 기획을 담당하는 직원들은 회사에서 극히 소수라 주변에서 만나보기 쉽지 않다. 또한 신입사원으로 이 직군으로 포지션 되기가 어렵기 때문에(대부분 경력) 이 직군을 꿈꾸는 사람들이 궁금해할 것 같아 오늘 이 포스팅을 준비했다.
신사업 기획은 간단히 말해 회사에서 미래 먹거리를 찾아서 미리 준비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물론 실제로 신사업을 기획하기 위해서는 저 한 줄보다는 더 많은 과정이 필요한 건 사실이다. 대략적으로 큰 분류로 신사업 기획을 설명해보고자 한다.
1. 비지니스 기회 발굴 (시장 및 트렌드 리서치)
회사마다 정해진 산업, 메인 비지니스들이 있다. 먼저 이런 부분들을 기반으로 향후 어떤 비즈니스가 펼쳐질지 다양한 리서치를 통해 신사업의 영역을 발굴하게 된다. 같은 산업의 해외 업계 동향을 조사하여 분석하기도 하고 또 트렌드에 맞는 서비스들을 리서치하고 분석하여 비즈니스 영역을 발굴하기도 한다. 이런 큰 분류의 비즈니스 섹터와 서비스들을 발굴하게 되고 이를 기반으로 좀 더 Depth 있는 분석으로 진입하게 된다.
2. 비지니스 상세 분석
한 영역이 설정이 되었으면 이제 해당 사업군에 있는 다양한 회사들이 어떻게 비즈니스를 하고 있는지 리서치하고 분석하게 된다. 또한 그들이 어떤 모델로 어떤 서비스를 하고 있는지까지 조사하게 되고 이를 기반으로 우리 비즈니스와 어떤 연관 관계가 있고 될 사업이라고 보는지 등의 견해들을 정리하게 된다.
3. 비지니스 모델 정의
자 이제 여러가지 사업모델들을 기반으로 우리가 사업을 하고자 한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를 고민하기 시작한다. 우리는 어떤 모델로 접근할 것이며, 어떤 서비스로 누구를 타깃하고 어떻게 돈을 벌 것인지 등을 상세하게 정의하게 되고 이를 기반으로 방향성이나 로드맵을 그리게 된다.
4. 추진 방안 및 계획
다음으로는 작성된 모델을 기반으로 어떻게 추진할 것인가를 고민하게 된다. 새로운 비지니스이기 때문에 해당 서비스를 누가 개발할 것인가부터 시작해서 어느 기간에 어떤 단계로 준비해나갈 것인지 구체화하게 된다. 여기서 서비스를 만들기 위해 인력을 채용할 것인가, 아니면 외부 역량 있는 회사들을 찾아 투자할 것인가 등에 대한 고민도 수반되게 된다.
5. 신사업 추진
비지니스 모델이 정의되었고 추진 방안과 계획이 정해졌으면 이제 실행으로 옮길 차례이다. 계획한 순서대로 신사업이 추진되게 되고 중간에 변수들을 해결해나가며 신사업은 추진이 된다. 외부 파트너사와 함께 그려가는 모델로 설계가 되었다면 실제 투자 검토 및 투자가 일어나게 되고 변수를 해결해나가며 신사업이 단계 단계를 지나가게 된다. 그리고 해당 영역이 추진됨에 있어 단기 중기적으로 사업을 적정성에 대해 평가하게 된다.
5단계로 큼지막하게 작성하여 간단해 보이지만 저 단계, 단계마다 많은 분석과 논리, 설득이 필요하고 이를 기반으로 C-level의 의사결정이 수반된다. 또한 추진 중에도 시장 변수가 변함에 따라 방향을 조금씩 조정해나가는 유연함도 반드시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신사업 기획 부분에 더 궁금한 내용이 있다면 언제든 댓글 달아주기 바란다. 그럼 내가 아는 선에서 친절히 답변을 달아주겠다.
'4. 투자 귀신 일상 > N 잡'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직업 상담] 개발자와 기획자 커리어 선택~! (15) | 2022.12.20 |
---|---|
[직업 상담] 커피챗 상담 중... (0) | 2022.12.09 |
외국계 기업에 취업하는 방법 (5) | 2022.12.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