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SMALL

전세 5

부동산 하락기에 매매 방법은~? (3탄 - 갭투자)

부동산 하락기에 아파트 매매하기 제3탄 갭투자이다. 갭투자는 내가 살고 싶은 지역은 있는데, 돈이 부족할 때 취할 수 있는 방법이다. 하지만 갭투자에도 하는 방법과 위험성들이 있으니 오늘은 그것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갭투자는 말 그대로 전체 매매가에 전세 세입자가 끼어있어 나머지 투자금만 있어도 아파트를 매매할 수 있는 투자 방식을 말한다. 하지만 단순히 갭을 대출받아서 하면 좋겠다 생각하지만... 갭투자에 대해서 은행에선 많은 부분 대출해주지 않는다. 그렇기 때문에 갭투자는 본인의 현금이 있어야만 할 수 있다고 말할 수 있다. 물론 대출이 나오긴 하지만 많은 부분 다른 세입자의 돈이 껴있는 아파트 단보물에 어떻게 많은 돈을 대출해 주겠는가? 갭투자를 하는 방식은 간단하다. 내가 원하는 지역의 매매가와..

깡통 전세 속출?? 대응 방안을 알아보자

요즘 부동산 가격이 하락하면서 전세를 살고자 하는 사람들은 많아지고 전세를 놓는 집주인들은 집값이 점점 떨어지고 고금리에 따라 채무 상황이 급격히 안 좋아진 상황 때문에 세입자가 전세금을 받지 못하고 떼이는 경우가 속출하고 있다고 한다. 그럼 우리는 어떻게 이런 깡통 전세를 알 수 있고 피할 수 있을까? 대응 방안을 알아보도록 하자. https://www.yna.co.kr/view/AKR20221221139300065?input=1195m [눈덩이 전세사기피해]① 곳곳에 '빌라왕'…속수무책 피해자들 | 연합뉴스 [※ 편집자 주 = 세입자들이 집주인으로부터 보증금을 돌려받지 못하는 전세사기 피해가 잇따르고 있습니다. 올해 서울·경기·인천에서만 800건에 ... www.yna.co.kr 우선 깡통 전세에 정..

부동산 타이밍을 잡기 어려운 이유?

부동산은 주식과 다르게 주거의 목적이고 투자 비용도 크기 때문에 무거워서 변동성이 적다라는 말이 있다. 그래서 혹자는 이런 느린 사이클을 이용해 투자 타이밍을 잡을 수 있다라는 말들도 있는데, 나는 부동산 타이밍을 잡는다는 것은 굉장히 힘들지 않나 싶다. 모든 투자 자산엔 사람들의 심리가 밑바탕 된다. 불안함을 느끼거나 긍정 신호를 느끼면 바로 사람들이 반응하게 되어 있다. 모두들 자신의 돈을 잃기 싫기 때문이다. 물론 부동산은 거래가 주식보다 쉽지 않기 때문에 무거운 것은 사실이다. 하지만 심리는 그대로 반영된다. 오늘은 부동산이 다 떨어졌을 때, 딱 노려서 사는 게 어려운 이유를 살펴보도록 하겠다. 최근 전세가가 계속해서 하락하고 있다라는 뉴스 기사들을 심심치 않게 볼 수 있다. https://www..

부동산 하락기 매매? 전세? 월세?

22년 상반기 부동산 고점을 지나 고 금리로의 인상과 가계 부채 증가로 부동산 시장에도 매서운 한파가 불고 있다. 이런 부동산 하락기에 우리는 어떤 포지션을 취해야 할까? 물론 사람마다 조금씩 다르지만 우선 집이 가장 필요한 실거주자에 한정해서 의견을 제시해보고자 한다. 부동산은 제목처럼 매매, 전세, 월세 3가지 포지션이 있다. 오늘은 세가지 포지션을 하락기에 선택했을 때, 어떤 현상들이 생기는지 그리고 어떤 포지션이 좋은지 제안해보겠다. 1. 매매 포지션 실거주자라면 어찌됬던 매매 포지션으로 가는게 중장기적으로는 가장 안정적이라 생각이 된다. 하지만 하락기에는 조금 다를 수 있다. 대부분 대출을 받아 집을 사게 될텐데... 대출 받은 것보다 집이 더 떨어지게 되면 그것만큼 큰 충격이 없다. 또한 부동..

영끌족의 선택지?

요새 부동산이 하락기에 들어서면서 젊은 영끌족들이 매우 고통스러워한다는 기사들을 많이 본다. 그런데, 영끌족이 정확히 무얼 말하는 걸까? 내가 생각하는 현재 어려운 상황에 처해있는 영끌족이란, 크게 2가지 분류로 나타낼 수 있을 것 같다. 1. 주담대(주택 담보 대출)을 40%를 했는데, 변동 금리를 선택한 사람들... 이런 사람들은 1년 또는 3년 국채 금리를 따라가는 상품을 선택했을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현재와 같이 금리가 계속해서 오를 때, 1년이 지나고 나면 대출금의 금리 퍼센트가 쭉 올라가는 현상이 생기는 것이다. 예를 들자면 4억을 3.5%에 빌렸다고 쳤을 때, 1년이 지난 지금 5%로 올라가는 것이다. 그럼 월 이자 부담이 116만원에서 166만원으로 50만원 상승한다는 것이다. 외벌이 기..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