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SMALL

상승 3

23년 하반기 부동산 시장 전망~! (feat. KB 부동산)

부동산에 대한 이야기와 뉴스가 정말 많은 때인 것 같다. '23년에 접어들자 1~3월까지 급매물이 소진되면서 거래량이 늘어나는 모습을 보이더니 이제 다시 거래량이 늘고 부동산 가격이 다시 오르는 것 아니냐는 말들도 쏟아져 나오고 있다. 오늘은 KB부동산의 4월까지의 통계를 통해 향후 부동산 시장에 앞으로의 전망을 논의해보고자 한다. 우선 위 그래프로 수치만 봐도 전월대비 가격의 빠짐 폭이 줄어든 걸 알 수 있다. '23년 1월만 해도 전월 대비 -1.31%로 가장 많이 매매 가격이 떨어졌고 2월부터 4월까지는 계속해서 급매물이 소진되어 가면서 빠진 가격들을 유지해나가고 있다. 자 그러면 매수우위지수의 비중을 확인해볼까? 이를 확인해 봄으로써 시장이 살아나고 있는지 아닌지를 확인해 볼 수 있다. 해당 그래..

1월 반짝 상승? 아니면 지속적 상승 랠리 시작?

'23년 첫 번째 FOMC 회의에서 0.25bp 인상으로 시장은 환호했다. 즉각 반영된 시장은 상승 랠리를 이어갔고 1월만 해도 10% 이상 상승이 있었다고 한다. 하지만 현재 시장은 서서히 냉각되고 있다. 다시 서서히 하락이 시작되었고 이가 계속될지 아니면 잠깐 이러고 다시금 상승 국면으로 갈지 귀추가 주목되고 있다. 오늘은 현재 시장의 상황들을 보고 앞으로 어떤 방향으로 갈지 그리고 어떤 전략을 짜야할지 알아보고자 한다. 하락이 시작된 것은 고점일 때 기관들의 차익실현 타이밍과 맞물리는 부분도 있었고 고용 지표들이 발표되자마자 하락은 가속화되기 시작했다. 고용지표들을 한번 살펴볼까? 지난 5일 미국 노동부에서 발표한 고용 상황을 보면 비농업 일자리 취업자가 18~19만 개 정도 증가할 것이라 예상했다..

부동산 하락 멈추는 신호가 서서히 보이나?

현재 정부에서는 부동산 경착륙을 막고자 다양한 부동산 정책을 쏟아내고 있다. 이에 시장은 조금씩 반응하며 무조건적 하락이 조금씩 멈추는 시그널들이 보이고 있다. 오늘은 부동산 하락이 바닥을 찍은 것인지 시그널들을 확인해보고 투자 방향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한국 부동산원이 12월 정책 완화 발표(1월 규제지역 완화 반영되기 전) 후 전국 아파트 매매가 가격지수 변동률이 하락폭이 -0.65로 지난달 대비 -0.11포인트 폭이 줄었다고 지난 5일에 발표했다. 이 점은 매매가를 다시 소폭 올리거나 싼 값에 내놓은 물량들이 거두어져 생긴 것이라 말할 수 있다. 부동산 하락은 집주인들이 집이 더 떨어질 것을 우려해 경쟁적으로 집 값을 낮게 부르면서 생기는 문제인데 정부의 거듭되는 정책 완화 소식에 시장이 살아..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