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SMALL

CPI 4

소비자 물가지수(CPI) 예상치 상회, 시장은 어떻게 될 것 인가?

어젯밤 10시경 미국 소비자물가지표가 발표되었다. 결론부터 말하여지면 예상치보다 높게 나와서 시장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었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신기한 현상들도 이어졌는데, 오늘은 그 부분을 살펴보고 앞으로의 투자 전략을 짜보도록 하자. 지난번 CPI 발표 직전에 현금 비중을 어느정도 유지하자란 말을 했었는데, 그 이유에 근간은 이번 소비자 물가지수(CPI)가 높게 나왔을 때 대응하기 위함이었다. 드디어 어젯밤 소비자 물가지표가 발표되었고 불길한 예상은 현실로 일어나고 말았다. 1월 소비자물가지표 CPI(YoY): 6.4% (예측 6.2%) CPI(MoM): 0.5% (예측 0.5%) Core(YoY): 5.6% (예측 5.5%) Core(MoM): 0.4% (예측 0.4%) 이 지표는 더 떨어져야 좋..

주식 시장 2 ~ 3월에는 하락을 면치 못한다?

지난 FOMC에서 0.25bp 금리 인상, 베이비스텝을 단행하고 나서 시장은 환호했다. 물론 이에 따라 주가는 10% 이상 상승했고 이런 기조가 계속될 줄 알았다. 하지만 고용지표가 생각보다 견고한 흐름과 이에 따른 연준 의원들의 강경 발언에 다시금 시장이 서서히 얼어붙고 있다. 앞으로 시장은 어떻게 될까? 오늘 저녁 소비자 물자 지수 발표가 예정되어 있고 FOMC 금리 인상도 3월에 '23년 2번째 회의가 열린다. 오늘은 과연 시장이 어떻게 될지 상황을 살펴보고 대응 전략에 대해 얘기해보고자 한다. 시장의 흐름을 판단하기 위해선 오늘 저녁에 발표하는 CPI(소비자 물가지수)가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소비자 물가지수는 소비자들이 특정 기간동안 구매한 재화와 용역의 총가치를 측정한 값이기 때문에 인..

'22년 마지막 금리 인상 단행

드디어 기다리고 기다리던 미국 연준의 금리인상이 오늘 새벽에 단행되었다. 물론 예상한 데로 0.5% 진행하였고 기존의 4번 연속 0.75% 인상하던 자이언트 스탭이 속도를 늦추었다. 이제 미국 기준 금리는 4%대로 마무리하는 모습을 보였다. 그런데 시장의 반응은 싸늘하다. 기다려왔던 0.5% 인상 아니였던가? 어제 새벽의 S&P 500 주가 흐름은 발표가 나고 나서 크게 하락하는 모습을 보였다. 왜 그런걸까? 분명 금리 인상 속도를 높이면 시장은 환호하고 주가는 치고 오를 줄 알았는데... 오히려 떨어지는 모습을 보이다니... 헌데, 이 부분은 FOMC 미팅을 보면 원인을 알 수 있다. 바로 내년 금리 인상 예측치를 나타내는 점도표 때문이다. 지난 9월 FOMC에서 투표된 내년 금리 최고치는 4.6% 정..

12월 FOMC 미국 연준 금리 인상의 선택은?

드디어 22년의 마지막 12월 FOMC 회의가 이번주 12월 13 ~ 14일 개최된다. 미국 증시에 매우 중요한 미팅이라고 할 수 있는데, 오늘은 FOMC가 뭐하는 곳이고 미국 주식에 향방에 막대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우선 FOMC는 쉽게 말하자면 우리나라의 한국은행과 같은 곳이다. 나라의 경제상황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돈을 풀거나 거둬드리거나를 금리 인상을 통해 컨트롤하는 그런 곳이다. 물론 한국 은행과 조금 다른점은 미국은 연방 국가이기 때문에 한국 은행처럼 한 곳에서 결정하는 것이 아니라 여러 의원들이 각 주의 연방준비은행에 소속되어 있는 12명의 의원들이 투표를 통해 모든 것을 결정하는 형태로 진행되게 된다. 물론 12명의 의원들은 민주당, 공화당 양쪽에 배분되어 있고 그 중 대..

728x90
반응형
LIST